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가이드라인

블라인드 인젝션 실습해볼 수 있는 사이트

https://gandalf.lakera.ai/

 

Gandalf | Lakera – Test your prompting skills to make Gandalf reveal secret information.

Trick Gandalf into revealing information and experience the limitations of large language models firsthand.

gandalf.lakera.ai

blind injection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주정통 관련 사이트

https://www.kisa.or.kr/20601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www.kisa.or.kr

주정통 가이드라인

 

ISO : 국제 표준화 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보안과 관련된 사항을 정리

ISO 2700X : 패밀리 --> ISO/IEC 27001:2013 정보 보안 관리 표준

                                   ---> ISMS

27001 정보보호 관리체계 --> ISMS

 

국내법 - ISMS-P

국제법 - ISMS -> 물리적 보안 --> 캡스(접근제어 : 인간)

                            기술적 보안 --> 보안 담당자 --> 엔지니어링

                            관리적 보안 --> ISMS의 중점사항 : 보안 책임자 --> Policy 정책

 

개인정보와 관련된 체계가 없다.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ISA --> ISMS-PIMS = ISMS-P

 

기술적 보안 - 시스템 보안

                      네트워크 보안

                      어플리케이션 보안

                      보안 법규

 

시스템 - Linux 계열 (OS 보안)

              Windows 계열 (OS 보안)

              ARM 계열 (임베디드 보안) <-- 산업용 제외

             보안 위협 / 취약점 점검 / 보안 관리

             --> 서버 / 네트워크 관제 : OP : 운영관리 + 관제(ok)

                                                       only 모니터링 (가면안됨)

 

 

네트워크 - 계층별 패킷 분석 (L1 ~ L4)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 라우터)

                  네트워크 보안 장비 (IPS / IDS / Firewall)

                  ESM (통합 관리 시스템)

                  SIEM (통합 보안관리 시스템) --> ELK

 

어플리케이션 - DB

                         APP (어플리케이션) : CMS - 모바일 (WEB)

                                                            APP ---> WEB & APP

                        WAS (Web Application System)

 

보안법규 - 개인정보

                  안전조치 - Cert (해킹될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 / 대응책)

                  사고 사례

 


윈도우 - Post 과정 (Power On SelfTest)

--> 컴퓨터가 켜지는 과정

 

1. 전원 켜기

2. POST 과정 - ROM(저장된 BIOS 프로그램) --> BIOS에 설정된 하드웨어 장비가 이상이 없는지 확인

                                                                              이상 발생 시 Beep음 발생

    2.1) 메인보드 전원 확인

    2.2) CPU 확인

    2.3) 그래픽카드 확인 --> 처음 모니터에 화면 보임

    2.4) RAM 확인 --> 기본 장치에는 이상 x

    ----------------------기본 장치 이상 x-------------------------

3. USB / 하드 디스크 장치 (부팅 장치) 인식

    MBR (Master Boot Recoder) 읽기

             부트로더 - 저장소에 있는 부팅 이미지를 메모리에 상주시킨다.

                              부팅과 관련된 설정 정보

                              부트로더의 설정에 따라 멀티 부트 가능

                                      윈도우 : NTLDR --> XP 이하

                                       BOOTMGR --> Vista 이상

                                      리눅스 : LILO --> 예전 버전

                                                    GRUB --> 최신 (강력한 부트로더)

                              정보 - BIOS가 가지고 있는 정보 + 윈도우 (프로필)에 등록된 정보

                               winload.exe(부팅 시) : Ntoskrnl.exe / hal.dll 실행(참조 시)

                               --> 작업관리자 - 프로세스 확인결과 새로운 디바이스 인식 시킨적 없는데 이런 프로세스가 올라올 때                                         악의적인 목적으로 부팅됐을 가능성 있음

                               -->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는 시스템 설정 정보를 읽어서 하드웨어 관련 드라이버 로딩

                               -->  사용자 프로필에 해당하는 정보를 읽어서 하드웨어 관련 드라이버 로딩

                                 * 윈도우 부팅화면에서 빙글빙글 돈다

                               --> 로그온 화면 출력 --> 사용자 프로필에 등록된 시작 프로그램이 동작한다.

                                     (msconfig - 시작프로그램 - 작업관리자)

4. 로그인 --> 단독 그룹 --> Local 프로필

                     도메인 --> 도메인 안에 있는 프로필


실습

cmd - 명령어를 이용한 윈도우 계정에 대한 무차별 대입 공격

ip 확인 - for /L %i in (1,1,5) do ping 192.168.0.%i

 

컴퓨터 관리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 사용자 - 새 사용자

smb / smb / 1234

 

대상 서버 : 192.168.0.6

공유폴더 : share

 

cmd에서 접속하는 문법

net use \\192.168.0.6\share

 

계정 정보 추가

net use \\192.168.0.6\share /USER:smb 1234

 

 

로컬 보안 정책 - 정책 내보내기 - Sec.def.inf

설정값들 나옴

 

'해킹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DOS(분산 반사 서비스 거부 공격)  (0) 2023.10.11
좀비 pc 생성  (0) 2023.08.07
LAND Attack, SYN Flooding, Ping Of Death 실습  (0) 2023.07.27
Nessus  (0) 2023.07.26
sql인젝션  (0) 2023.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