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이론

라우터 :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해 경로를 탐색 후 최적의 경로 선출 

              gateway 역할 수행하며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 전달

 

스위치 : 트랜스패런트 브릿징 (러닝LRN, 플러딩Flood, 포워딩FWD, 에이징AGE, 필터링Filter)

              Bridge 역할 수행하며 같은 네트워크로 프레임 전달

  스위치 라우
동작계층 L2 L3
주용도 동일 네트워크(LAN) 다른 네트워크(WAN)
전송 시 참조 MAC Address Table Routing Table
패킷 루프 방지 PVST+ 라우팅 프로토콜(Distance Vector)
RIP, EIGRP, BGP
split-horizon
컬리젼 도메인 구분 여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구분 여부
O
X
O
O
패킷 처리 속도 빠름 Cut Through
목적지 MAC 주소만 확인
느림 Store and Forward
         저장            전달
IP -> NI 추출

MPLS : 라우터끼리 Cut Through 동작 원리 --> FR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AD값

Static - static - 상세 네트워크 등록                         1

            summary - 축약 네트워크 등록                    5

            default - 기본 네트워크 등록                      255

 

AD : 관리자로부터의 거리 -> 가까울수록 신뢰성이 높다.

 

Dynamic - Distance Vector - RIPv1 / RIPv2

                                              IGRP / EIGRP

                                              BGP (속성 디스턴스 벡터) EGP

              - Link State           - OSPF                          

                                           - IS - IS                                  EGP

 

Distance(거리 - Hop Count) Vector(방향 - 인터페이스) - 최적 경로 선출 시 인접 라우터만 본다.

Link(회선) State(상태 - 회선 속도) -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 모든 경로를 본다.

= 경로상에 존재하는 값들의 총합이 적으면(cost가 가장 낮으면) 최적 경로이다.

 

IGP -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동일 AS - 최적 경로가 가장 중요

                                                              Autonomous System - 자율 시스템

                                                                      동일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KT,LG,SK등 국내에 ISP 9개 존재

EGP -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다른 AS - 비용이 가장 중요         

 

classful - 라우팅 정보에 SM 없다. ex) 172.16.0.0 -> B클래스이므로 Prefix가 16임을 알 수 있음 / 서브넷 불가

classless - 라우팅 정보에 SM이 있다. ex) 172.16.0.0/25 -> 기본 SM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지를 해줘야 함/서브넷 가능

VLSM - 서브넷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

Variable-length Subnet Mask - 서브넷 마스크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Metric - cost를 계산하기 위한 요소값

단일 메트릭 - 메트릭의 값이 cost다.  ex) 몸무게 / 키 / 나이

복합 메트릭 - 여러개의 메트릭이 존재한다. -> 공식으로 연산을 수행한다. ex) BMI 지수

cost - Metric에 의해 계산된 결과값 - cost의 숫자가 적을수록 비용이 적다 -> 최적의 경로

 

RIP - Metric = hop = cost

EIGRP - 대역폭(Bandwidth) / 지연(Delay) / 신뢰도(Reliability) / 부하(Load) / MTU

 

정적경로

STATIC - 관리자가 직접 경로를 등록해준다.

등록하는 방식 - 상세(static) , 축약(summary) , 기본(default)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L  (1) 2023.06.15
RIP  (1) 2023.06.08
5-18  (0) 2023.05.19
넷관사 준비  (0) 2023.05.10
SSH  (0) 2023.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