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코딩은 gpt 쓰세요~ 찡긋

in (or연산)

(DATA) in (list)  --- 요소 1개 호출(index) --- 요소의 갯수만큼 호출

반복횟수 정해져있다 --- 예측가능

 

litst 안에 data가 존재한다. : 명제(논리) = T / F

 

 

return - 메서드가 동작한 후 메서드 동작값을 주소로 반환함

             현재 프로세스의 종료를 뜻함

pass - C에서 return 0 과 같은 의미, 다만 py에선 return을 계속 해줄 필요는 없기 때문에 return 자체가 별도로 존재 x

 

for

전통적 for

수열을 생성해서 사용한다. range( )와 함께 사용된다. 

향상된 for 

열거형 객체타입(iterable)을 직접 사용한다. (iterable) / 순차적 호출만 사용가능하다.

for문 수행원리

 

코드를 단순화 시키기 위해 우선 출력해야하는 값을 무식하게 만들어보고, 규칙성을 찾아서 하나씩 줄이면 편하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ss  (1) 2023.05.25
함수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짐)  (0) 2023.05.09
연산자  (0) 2023.04.20
list, dict  (0) 2023.04.19
이론, 문자열  (0)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