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정리 #2

POE (Power over Ethernet) 

●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와 전력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기술

● 일반적인 케이블은 데이터 전송만을 위해 사용되지만, PoE를 사용하면 별도의 전원 케이블 없이 네트워크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고 유연성이 높아진다.

 

LACP (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 여러 이더넷 링크(포트)를 그룹화하여 한개의 논리적 링크로 만드는 것

(2개 포트를 1개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IP 1개를 사용한다.)

 

● 포트집합 : 여러개의 물리적 포트를 하나의 논리적 링크로 결합해 트래픽 부하 분산 및 대역폭 확장이 가능하다.

예시로 1G 포트 4개를 묶어서 4G 대역폭을 만들 수 있다.

● 로드 밸런싱 : 각 포트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산하여 부하를 방지한다.

● 장애 대응 : 하나의 장애 발생 시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로 트래픽을 분배하여 네트워크 가용성을 높인다.

● 동적 링크 조정 : 활성화된 포트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후 동적 링크 협상으로 최적의 포트 집합을 설정한다.

 

백본

트래픽 과밀집 구간에서 연결을 분배하는 역할 (주로 L3 스위치 사용)

-> L3를 사용하는 이유는 처리속도가 빠르고 데이터 변환이 필요하지 않음(LAN -> WAN)

 

코어

백본에 위치한 스위치. 컴퓨터가 50대 이상일 시 라우터가 감당을 못하기 때문에 코어를 사용해야 한다.

대용량 캐시, 가상화, 확장성, 모듈 이중화의 장점이 있다.

 

클러스터링

LB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용 스토리지

 

GARP

  ARP는 매핑 정보를 알기 위해 호스트가 ARP 요청을 보내면 해당 IP주소를 가진 장치가 ARP 응답을 보내며 자신의 MAC 주소를 알려주지만, GARP는 장치가 스스로 자신의 IP와 MAC 주소를 알리는 방식이다.

  네트워크 상 모든 장치가 GARP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IP 주소와 MAC 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갱신한다.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 시 GARP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IP 주소 충돌 감지를 위해 사용한다.

  VRRP에서 마스터 전환 시 새로운 마스터가 GARP를 통해 자신이 새로운 마스터임을 알리고 VIP에 대한 MAC 주소 매핑 정보를 갱신한다.

 

HSRP

  CISCO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표준 기술로 Network 간 2개 이상 Gateway를 사용한다.

  하나의 경로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경로가 Gateway 역할을 한다.

  장비 - 장비 간의 Virtual Gateway 설정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LCF / VRRP  (0) 2024.09.14
용어 정리 #1  (0) 2024.08.19
Option 메소드  (0) 2024.07.13
로봇 배제 표준  (0) 2024.07.13
JNDI 인젝션  (0) 2024.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