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밸런싱 고가용성 (수정)

로드밸런서의 주요 기능

  • DSR (Driect Server Return)

서버의 응답 결과를 받을 목적지 주소를 L/B과 같은 네트워크 스위치 IP 주소가 아닌, 클라이언트의 IP주소로 전달해서 네트워크 스위치를 거치지 않고 바로 클라이언트를 찾아가는 개념

예를 들어, L/B가 양방향 프록시라면 모든 웹서버가 받는 트래픽을 L/B가 받게 된다. DSR은 응답 시 L/B를 거치지 않고 출발지 IP로 바로 응답하게 한다. DSR 기능을 통해 L/B는양방향에서 발생하는 모든 트래픽을 받는 게 아닌,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한 트래픽만 처리하게 된다.

적합한 경우 : 요청 패킷이 적은 케이스 (일반적인 웹 요청, 파일 다운로드)

적합하지 않은 경우 : 요청 패킷이 많은 케이스 (파일업로드, SMTP) - 파일 업로드 시에는 L/B를 거치지 않도록 해야함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조기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개 IP를 통해 접속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Tunneling

인터넷상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통로를 만들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개념으로,데이터를 캡슐화해서 연결된 상호 간에만 캡슐화된 패킷을 구별해 캡슐화를 해제

 

 

장애 발생 시, 서비스 운영 중단 시간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대기 서버를 둔다. (이중화, 평소에는 트래픽 분배 X)

Acitve 중인 로드밸런서와 Standby 상태의 로드밸런서가 heartbeat를 주고 받으며 서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health check를 한다.

Ative L/B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Standby L/B가 작업을 이어받을 수 있게 페일오버(Failover) 해서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HA cluster를 구성한다. Standby L/B가 Active 상태로 변경되면서 장애가 발생한 L/B의 가상 IP주소를 가져오기 때문에 서비스가 무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1초 정도의 순단 현상은 발생할 수 있다.

출처: https://prohannah.tistory.com/62 [Hello, Hannah!:티스토리]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래핑이란?  (0) 2023.12.29
Duplex  (1) 2023.12.09
EtherType  (0) 2023.10.11
디피 헬만 알고리즘  (1) 2023.10.10
IPSEC phase  (0)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