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 GET과 POST의 차이

GET / POST

Get은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줄 때 사용한다.

어떤 값이나 내용, 상태 등을 바꾸지 않는 경우에 사용을 하는 것이다.

 

Post는 서버상의 데이터 값이나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 사용한다.

게시판으로 예를 들자면, 글의 내용에 대한 목록을 보여주는 경우나, 글의 내용을 보는 경우는 Get
글의 내용을 저장하고, 수정할 땐 Post를 사용한다.

 

GET method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데이터를 읽거나(Read), 검색(Retrieve)할 때에 사용되는 method라고 할 수 있다.

GET은 요청을 전송할 때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로 포함되어 전송되며, 이 부분을 쿼리 스트링(QueryString)이라고 부른다.

*쿼리 스트링 : URL의 뒤에 입력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가장 단순한 데이터 전달 방법

 

e.g.) www.example-url.com/resources?name1=천진우&name2=이재현

위 예는 앞서 말한 쿼리스트링을 포함한 URL이다. 파라미터인 name1과 name2를 통해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만약, 요청 파라미터가 여러 개이면 &로 연결한다.

그리고 GET 요청은 오로지 데이터를 읽을 때만 사용되고 수정할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이유로 사용하면 안전하다고 간주된다. 즉, 데이터의 변형의 위험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POST method는 리소스를 생성/업데이트하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된다.

GET과 달리 전송해야 될 데이터를 HTTP 메시지의 Body에 담아서 전송한다. 그리고 그 Body의 타입은 요청 헤더의 Content-Type에 요청 데이터의 타입을 표시 따라 결정된다. (POST로 요청을 보낼 때는 해야 함)

HTTP 메시지의 Body는 길이의 제한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래서 POST 요청은 GET과 달리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POST는 데이터가 Body로 전송되고, 내용이 눈에 보이지 않아 GET보다 보안적인 면에서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POST 요청도 크롬의 개발자 도구,  Fiddler와 같은 툴로 요청 내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에는 반드시 암호화해 전송해야 한다.

 

✔  GET VS POST

캐시 ⭕️
브라우저 기록 ⭕️
북마크 추가 ⭕️
데이터 길이 제한 ⭕️
HTTP 응답 코드 200(Ok) 201(Created)
언제 주로 사용하는가? 리소스 요청 리소스 생성
리소스 전달 방식 쿼리스트링 HTTP Body
idempotent ⭕️

idempotent는 동일한 연산을 여러 번 수행하더라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야 한다는 의미이다.

GET idempotentPOST는 Non-idempotent 하게 설계됐다.

 

여기서 GET이 Idempotent 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은 GET으로 서버에게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전송하더라도 동일한 응답이 돌아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GET은 설계 원칙에 따라 서버의 데이터나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아야 Idempotent 하기 때문에 주로 조회를 할 때에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에서 웹페이지를 열어보거나 게시글을 읽는 등 조회를 하는 행위는 GET으로 요청하게 된다.

반대로 POST는 Non-idempotent 하기 때문에 서버에게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전송해도 응답은 항상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POST는 서버의 상태나 데이터를 변경시킬 때 사용된다. 게시글을 쓰면 서버에 게시글이 저장이 되고, 게시글을 삭제하면 해당 데이터가 없어지는 등 POST로 요청을 하게 되면 서버의 무언가는 변경되도록 사용된다.

 

출처 : https://velog.io/@songyouhyun/Get과-Post의-차이를-아시나요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Zyxel Router zhttpd Command Injection  (0) 2023.10.29
PFS란?  (0) 2023.10.12
알아두면 좋은 Well-known Port  (2) 2023.10.06
간단한 보안 이론 정리  (1) 2023.10.06
REST API / 트랜잭션 / CRM / DDNS  (0) 202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