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g 2023. 9. 1. 17:36

주소 : 128비트

표기 : 16진수

"::" 줄임을 사용할 수 있다. (한번만)

IPv6 routing 프로토콜 - static

                                      RIPNG(v3)

                                      EIGRPv3

                                      OSPFv3

 

IPv6 네트워크 망을 구축할 수 있다.

코어망(IPv4로 구축되어 있다.)

 

IPv6 네트워크에서 출발하는 패킷 + Encapsulation 시켜서 IPv4 헤더를 추가한다.

--> IPv4 네트워크망을 통과할 수 있다.

= 6 to 4 Tunneling

-> 터널링 :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술 : GRE

 

IPv6 128비트 --> 탄생 이유 : IPv4는 미국에서 개발됨. (미국 내에서 사용하려고 만듬)

환경 : 1. 서버만 통신하면 된다. (개인 pc 보급을 상상하지 못함)

          2. 근거리 통신만 하면 된다. LAN : CAN : 캠퍼스 네트워크

                                                       MAN : metrocity -> state(주)

 

          ---> IP의 갯수가 많이 필요하지 않음 : 32bit : IPv4

현재 : IPv4 --> WAN --> NIC기관 --> 5대륙 NIC --> 각 NIC --> 국가 단위의 네트워크 할당

결론 --> 많은 IP가 사용되었다.(2013년 고갈)

 

해결방안 : 1. NAT, 2. DHCP

 

주소표기 : 구성 --> NI + HOSTID

16진수 : 비트열이 너무 김

4문자씩 그룹으로 묶어서 표기

 

16진수 1문자는 4비트 / 1개 블럭 : 16비트

8개 블럭 - 128비트

 

각 블럭의 구분을 ":" 콜론으로 한다.

가뜩이나 비트열이 길다 --> 중간을 보면 연속되는 "0" : 0000:0000:0000 : 3개의 블럭이 존재한다.

연속되는 "0"이 블럭단위로 나오면 생략이 가능하다. --> 그 생략되었음을 표시 "::"

fe80::f1c3:d65e:fc6f:00ca 생략이 되었어도 각 비트여의 문자를 유추할 수 있어야 한다.

fe80:0000:0000:0000:f1c3:d65e:fc6f:00ca ---> fe80::f1c3:d65e:fc6f:00ca

"::" 기호는 전체 주소에서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

 

IPv6의 SM 표기법 : Prefix 표기법을 따른다. /64 --> 기본 서브넷 마스크 --> 16bit로 사용한다.

/60 /80 /96 /112 /128 --> (255.255.255.255) : 고정 IP

 

IPv4와 IPv6 주소를 연계 방식

IPv6의 기능 : IP 자동 생성 기능 --> 라우터로부터 자신의 NI를 전달받는다.

                                                        HOSTID에 해당하는 부분은 자동으로 만들어서 붙인다.

 

현재 IPv4 체계상에 존재하는 정보를 활용

NI를 /80  , 남은 HOST ID : 48bit

                                           ------- : MAC --> 사람이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 발생

해결 --> NI를 /96으로 세팅 , 남은 HOST ID :  32bit --> IPv4의 주소와 길이가 같음

 

IPv6특징 : 확장 헤더를 갖는다 --> IPv4 헤더 : 가변

                                                       IPv6 헤더 : 고정

IPSEC -> 기밀성 / 무결성 --> 기본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IPv4는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옵션) IPSEC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IP 자동 생성 기능을 갖고 있다.

 

IPv6의 통신방식

UC

MC --> 기존 MC + BC // IPv6는 네트워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BC는 불가능하다.

전체 네트워크에 전달할 필요가 있는 정보 처리 방법은? 

(IOT 네트워크 : IPv6 주소) --> Sensor(대상) --> 저전력(문제)

AC --> (자신과 근접한 장비를 통해 전달)

 

글로벌 유니캐스트(공인 IP)

200X::/16

#글로벌 IPv6주소는 동일한 인터페이스에 여러개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conf t

int s/10

ip add 1.1.1.1 255.255.255.0

ip add 1.1.1.2. 255.255.255.0 sec

ip add 1.1.2.1 255.255.255.0 <-- overlab 에러 발생

 

conf t 

int s1/0

ipv6 add 2000::1/64

ipv6 add 2001::1/64 <-- 다른 NI를 넣어도 overlab 에러가 발생하지 않음

 

링크로컬 주소 (169.254.x.x) --> DHCP 자동할당에 실패한 경우 자신의 IP를 스스로 만들어낸다.

--> NI가 다르기 때문에 통신이 되지 않는다.

IPv6의 링크로컬 주소 = IPv6에서는 기본적으로 장비의 대표 링크로컬 주소를 생성한다.

회선의 연결과 유지에 사용한다. --> IP는 가변적이다.

                                                    --> 링크 로컬 주소를 이용한 회선관리를 한다.

 

네트워크 장비에 IPv6가 활성화되면 장비 스스로 링크 로컬주소를 생성한다.

(fe80::/10)

fe80 로컬주소

2000 공인 IP

 

멀티캐스트 주소 (224.0.0.0 ~ 239.255.255.255)

FF00::/8   --> FF는 고정값

    ---              : IANA 할당된 공인 번호 224.0.0.10 --> EIGRP

    -                : "1"이면 특정 네트워크에서 부여한 임의의 사설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IPTV)

     -               : 해당 패킷의 전송 범위를 표시

                       "2" : 해당 링크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주소

 

애니캐스트

::/128 --> 모든 비트열이 "0"으로 세팅되어 있다.

--> IPv4에서 디폴트 라우팅 0.0.0.0 0.0.0.0.0과 동일

 

실습환경

라우터 환경 확인 (ip = ipv4의 줄임말)

 

sh ipv6 int bri 입력 시 ipv6에 대한 정보가 나옴

 

Cisco의 모든 라우터에는 Dualstack 기능을 가지고 있다.

Dualstack이란?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ipv4 주소 테이블과 ipv6 주소 테이블을 모두 가지고 있다.

--> IPv4/IPv6를 혼용할 수 있다.

 

conf t

int s1/0

ipv6 enable

ipv6 add 2000::1/64

 

sh ipv6 ro

 

conf t

router rip --> ipv4의 rip프로토콜 설정

--> ipv4 라우팅 프로토콜을 활성화 하지 않음

 

ipv6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려면 활성화가 필요하다.

conf t

ipv6 unicast-routing

 

ipv6를 /96으로 바꿔서 ipv4와 결합하기 위해 ipv6세팅 변경

 

루프백에 2001::1:1:2:1/64 넣기

 

static으로 라우팅 설정

R1

conf t

ipv6 route 2001::/64 2000::1:1:1:2

R2

conf t

ipv6 route 2000::/64 2001:1:1:1:1

 

rip 설정 시 static 지우기

ipv6 unicast-routing

ipv6 router rip 1

no sh --> 필수

 

ipv6라우팅 프로토콜 네트워크 등록

conf t

int s1/0

ipv6 rip 1 enable

 

동작 확인 --> rip 가 동작하는 인터페이스 확인 가능

debug ipv6 rip s1/0

un all --> 종료

회선의 연결/유지, 라우팅 정보를 전달 : 링크 로컬 주소를 사용한다.

 

dst=FF02::9 (Serial1/0)

       --- 멀티캐스트

           -- 공인

             -- 회선 전체에 전달

                 -- 224.0.0.9 : HOST ID

기존 RIPv2의 멀티캐스트와 일치한다.

 

동작하는 라우팅 정보와 재분배 정보

 

sport = 521 , dport = 521 = UDP 521번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재분배

conf t

ipv6 router rip 1

redistribute static metric 3

 

default-information originate --> 디폴트 경로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EIGRPv3

링크 스테이트 동작을 위한 필수 조건 : 동일 라우팅 프로토콜 / 동일 process-ID : 구분자

1. 라우팅 프로토콜

conf t

ipv6 router eigrp 100

eigrp router-id 1.1.1.1

no sh

 

2. 인터페이스 활성화

conf t

int s1/0

ipv6 eigrp 100

 

ospf 동일

1. 라우팅 프로토콜

conf t

ipv6 router ospf 1

router-id 1.1.1.1

no sh

 

2. 인터페이스 활성화

conf t

int s1/0

ipv6 ospf 1 area 0

 

FR 세팅

ospf NBMA 영역 네이버 지정은 인터페이스에서 ipv6 ospf neighbor 상대방 링크 로컬 주소